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공인중개사 2차 1교시 2과목 41~50번 문제

by 혼자하는 2024. 7. 22.
반응형

* 정답은 문제 끝 드래그하면 확인 가능

4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허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농림지역에 물건을 1개월 이상 쌓아놓는 행위는 개발행위허가의 대상이 아니다.
② ⸢사방사업법⸥에 따른 사방사업을 위한 개발행위에 대하여 허가를 하는 경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와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한다.
③ 일정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를 제한할 수 있는 대상지역에 지구단위계획구역은 포함되지 않는다.
④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중앙도시계획위원회나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하고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다.
⑤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하는 경우 그 연장 기간은 2년을 넘을 수 없다.

4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허가 시 개발행위 규모의 제한을 받지 않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지구단위계획으로 정한 가구 및 획지의 범위 안에서 이루어지는 토지의 형질변경으로서 당해 형질변경과 그와 관련된 기반시설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② 해당 개발행위가 ⸢농어촌정비법⸥에 따른 농어촌정비사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③ 건축물의 건축, 공작물의 설치 또는 지목의 변경을 수반하지 아니하고 시행하는 토지복원사업
④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수소연료공급시설의 설치를 수반하는 경우
⑤ 해당 개발행위가 ⸢국방•군사시설 사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방•군사시설사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4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시•도지사가 복합용도지구를 지정할 수 있는 용도지역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준주거지역                                        ㄴ. 근린상업지역
ㄷ. 일반공업지역                                     ㄹ. 계획관리지역
ㅁ. 일반상업지역

① ㄱ, ㄴ
② ㄷ, ㄹ
③ ㄱ, ㄴ, ㄷ
④ ㄷ, ㄹ, ㅁ
⑤ ㄱ, ㄴ, ㄹ, ㅁ

4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①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준산업단지에 대하여는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없다.
② 도시지역 내 복합적인 토지 이용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는 지역으로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지역에 일반공업지역은 해당하지 않는다.
③ ⸢택지개발촉진법⸥에 따라 지정된 택지개발지구에서 시행되는 사업이 끝난 후 5년이 지나면 해당 지역은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④ 도시지역 외의 지역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려면 지정하려는 구역 면적의 3분의 2 이상이 계획관리지역이어야 한다.
⑤ 농림지역에 위치한 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는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지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4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주민이 도시•군관리계획의 입안권자에게 그 입안을 제안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및 변경과 입지규제최소구역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
② 지구단위계획구역의 지정 및 변경과 지구단위계획의 수립 및 변경에 관한 사항
③ 기반시설의 설치•정비 또는 개량에 관한 사항
④ 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의 변경에 관한 사항
⑤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 및 변경에 관한 사항

4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군관리계획결정의 실효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공통된 숫자로 옳은 것은?   

지구단위계획(주민이 입안을 제안한 것에 한정한다)에 관한 도시•군관리계획결정의 고시일부터 (    )년 이내에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허가•인가•승인 등을 받아 사업이나 공사에 착수하지 아니하면 그 (    )년이 된 날의 다음날에 그 지구단위계획에 관한 도시•군관리계획결정은 효력을 잃는다.

① 2
② 3
③ 5
④ 10
⑤ 20

4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용도지구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집단취락지구 : (  ㄱ  )안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 복합개발진흥지구 : 주거기능, (  ㄴ  )기능, 유통•물류기능 및 관광•휴양기능중 2 이상의 기능을 중심으로 개발•정빌할 필요가 있는 지구

① ㄱ: 개발제한구역, ㄴ: 공업
② ㄱ: 개발제한구역, ㄴ: 상업
③ ㄱ: 개발제한구역, ㄴ: 상업
④ ㄱ: 관리지역, ㄴ: 공업
⑤ ㄱ: 관리지역, ㄴ: 교통

4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입주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대상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① ⸢산업일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첨단산업단지
②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고밀복합형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지역
③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시행구역
④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근린재생형 활성화계획을 수립하는 지역
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른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주거지역 또는 공업지역으로 정비가 시급한 지역

4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밀도관리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인 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 관한 기초조사를 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타인의 토지에 출입할 수 있다.
② 개발밀도관리구역의 지정기준, 개발밀도관리구역의 관리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한다.
③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해당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의 최대한도의 50퍼센트 범위에서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④ 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하거나 변경하려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⑤ 기반시설을 설치하거나 그에 필요한 용지를 확보하게 하기 위하여 개발밀도관리구역에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5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시•군•구도시계획위원회의 업무를 모두 고른 것은?   

ㄱ. 도시•군관리계획과 관련하여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이 자문하는 사항에 대한 조언
ㄴ. 시범도시사업계획의 수립에 관하여 시장•군수•구청장이 자문하는 사항에 대한 조언
ㄷ. 시장 또는 군수가 결정하는 도시•군관리계획의 심의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