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34회 공인중개사 시험 1차 1교시 기출문제 1~10번

by 혼자하는 2024. 4. 20.
반응형

* 일부러 답안은 숨겨두었다. 문제 끝 부분을 드래그하면 나온다.
문제 내용은 많아서 10문제씩만 볼 예정이다.

공인중개사 기출문제 1번 ~ 10번

1. 토지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용도의 다양성으로 인해 두 개 이상의 용도가 동시에 경합할 수 없고 용도의 전환 및 합병-분할을 어렵게 한다.
② 부증성으로 인해 토지의 물리적 공급이 어려우므로 토지 이용의 집약화가 요구된다.
③ 부동성으로 인해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④ 영속성으로 인해 재화의 소모를 전제로 하는 재생산이론과 물리적 감가상각이 적용되지 않는다.
⑤ 개별성으로 인해 토지별 완전한 대체 관계가 제약된다.

2. 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민법」상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이다.
② 경제적 측면의 부동산은 부동산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수익성, 수급조절, 시장정보를 포함한다.
③ 물리적 측면의 부동산에는 생산요소, 자산, 공간, 자연이 포함된다.
④ 등기·등록의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부동산에 준하여 취급되는 동산은 준부동산으로 간주한다.
⑤ 공간적 측면의 부동산에는 지하, 지표, 공중공간이 포함된다.

3. 토지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옳게 연결된 것은?   

㉠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 바다와 육지 사이의 해변 토지
㉡ 택지경계와 인접한 경사된 토지로 사실상 사용이 불가능한 토지
㉢ 택지지역 내에서 공업지역이 상업지역으로 용도가 전환되고 있는 토지
㉣ 임지지역 · 농지지역 · 택지지역 상호 간에 다른 지역으로 전환되고 있는 일단의 토지

① ㉠ : 공지, ㉡ : 빈지, ㉢ : 후보지, ㉣ : 이행지
㉠ : 법지, ㉡ : 빈지, ㉢ : 이행지, ㉣ : 후보지
㉠ : 법지, ㉡ : 공지, ㉢ : 후보지, ㉣ : 이행지
㉠ : 빈지, ㉡ : 법지, ㉢ : 이행지, ㉣ : 후보지
㉠ : 빈지, ㉡ : 법지, ㉢ : 후보지, ㉣ : 이행지

4. 해당 부동산시장의 수요곡선을 우측(우상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수요변화의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해당 부동산은 정상재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 
① 대출금리의 상승
② 보완재 가격의 하락
③ 대체재 수요량의 증가
④ 해당 부동산 가격의 상승
⑤ 해당 부동산 선호도의 감소

5. 거미집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공급의 가격탄력성보다 크면 발산형이다.
② 가격이 변동하면 수요와 공급은 모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다.
③ 수요곡선의 기울기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 절댓값보다 작으면 수렴형이다.
④ 수요와 공급의 동시적 관계로 가정하여 균형의 변화를 정태적으로 분석한 모형이다.
⑤ 공급자는 현재와 미래의 가격을 동시에 고려해 미래의 공급을 결정한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다.

6. A지역의 기존 아파트 시장의 수요함수는 P = -Qd + 40, 공급함수는 P= ⅔ Qs + 20이었다. 이후 수요함수는 변하지 않고 공급함수가 P= ⅔ Qs + 10으로 변하였다.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 P는 가격(단위는 만원/m²), Qd는 수요량(단위는 m²), Qs는 공급량(단위는 m²)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아파트 공급량의 증가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로 공급곡선이 좌측(좌상향)으로 이동하였다.
② 기존 아파트 시장 균형가격은 22만원/m²이다.
③ 공급함수 변화 이후의 아파트 시장 균형량은 12m²이다.
④ 기존 아파트 시장에서 공급함수 변화로 인한 아파트 시장 균형가격은 6만 원/ m² 만큼 하락하였다.
⑤ 기존 아파트 시장에서 공급함수 변화로 인한 아파트 시장 균형량은 8 m²만큼 증가하였다.

7.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절댓값을 의미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가격이 변화하여도 수요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는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완전탄력적이다.
② 가격변화율보다 공급량의 변화율이 커서 1보다 큰 값을 가진다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③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0이라면, 완전탄력적이다.
④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이다.
⑤ 공급곡선이 수직선이면,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완전비탄력적이다.

8.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부동산은 정상재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 수요곡선상의 수요량은 주어진 가격에서 수요자들이 구입 또는 임차하고자 하는 부동산의 최대수량이다.
② 부동산의 공급량과 그 공급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 공급함수이다.
③ 공급의 법칙에 따르면 가격(임대료)과 공급량은 비례관계이다.
④ 부동산 시장수요곡선은 개별수요곡선을 수직으로 합하여 도출한다.
⑤ 건축원자재의 가격 상승은 부동산의 공급을 축소시켜 공급곡선을 좌측(좌상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9. 지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튀넨(J. H. von Thunen)의 위치지대설에 따르면, 비옥도 차이에 기초한 지대에 의해 비농업적 토지이용이 결정된다.
② 마샬(A. Marshall)의 준지대설에 따르면, 생산을 위하여 사람이 만든 기계나 기구들로부터 얻은 일시적인 소득은 준지대에 속한다.
③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설에서 지대는 토지의 생산성과 운송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④ 마르크스(K. Marx)의 절대지대설에 따르면, 최열 등지에서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⑤ 헤이크(R. Haig)의 마찰비용이론에서 지대는 마찰비용과 교통비의 합으로 산정된다.

10. 도시공간구조이론 및 입지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버제스(E. Burgess)의 동심원이론에서 통근자지대는 가장 외곽에 위치한다.
② 호이트(H. Hoyt)의 선형이론에 따르면,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분화는 점이지대를 향해 직선으로 확대되면서 나타난다.
③ 해리스(C. Harris)와 울만(E. Ullman)의 다핵심이론에는 중심업무지구와 점이지대가 존재하지 않는다.
④ 뢰쉬(A. Losch)의 최대수요이론은 운송비와 집적이익을 고려한 특정 사업의 팔각형 상권체계 과정을 보여준다.
⑤ 레일리(W. Reilly)의 소매인력법칙은 특정 점포가 최대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장소에 입지 하는가에 대한 8원칙을 제시한다.

* 문제의 답은 문제 마지막에 드래그를 하시면 확인할 수 있음.
문제별 내용이 많아 과목별 10문제씩 끊어서 작성 중이다.

반응형